광화문광장 일대는 국가중심공간
- 국가경영 천년 철학과 민본사상이 담긴 국가중추공간
- 3.1운동 ~ 오늘날까지 역사를 만들어온 현장
- 다양한 시민활동이 일어나는 대표적 시민중심공간
광장 개선 필요성 제기
- 그늘(쉼터) 및 시민 편의시설 부족
- 광화문 전면부 역사공간 미흡
- 보행접근성 개선 필요
여건의 변화
- 도심부 보행중심공간 여건조성
- 다양한 논의를 통한 공론화 및 공감확대
- 한양도성 도심 내 녹색교통진흥지역 지정 (2017.3.15, 국토부고시 제2017-144호)
광화문광장 주요 추진경위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민의 광장2016. 9.광화문 포럼
(광화문광장 개선의 방향과 원칙 발표)
2018. 4.광화문광장 기본계획 발표
(문화재청, 서울시 공동발표)
2018. 10. ~ 2019. 1.국제설계 공모 및 당선작 발표
2019. 9. ~ 12.지역주민 소통 강화
현장설명회 개최 및 지역주민 면담
2020. 11.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사업 착공
2021. 5.매장문화재 발굴조사 현장 시민공개
시민의견에 따라 광장추진방향 변경
공간조성
- 상징성, 국가중심 공간
- 공원요소 담긴 광장, 시민활용 강조
보완·발전 계획 추진방향
새로운 광화문광장 조성 보완ㆍ발전 계획(안)에 대한 관계자 협의 추진
광화문광장의 역사성 한층 강화
- (복원) 광화문 월대, (보존) 매장유구, (형상화) 육조거리, 물길

광화문광장 일대의 역사문화 스토리텔링
- (콘텐츠) 이순신장군(상유 12척, 23전 23승), 세종대왕(한글, 민본정신), 광화문 월대, 해치상 등
- (연계) 콘텐츠 간 연계 및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광장외 관광자원 연계

광장주변부와 연계 활성화 전략 마련
- (활성화) 광장주변부 통합활용
- (역할) 공공은 거점시설, 민간은 자원시설
- (운영) 행사기획, 운영, 시설관리, 마케팅, 홍보 등 통합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