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대를 연결하는 모두의 문화공간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광화문광장
광화문광장의 곳곳을 걷자

광화문광장에는 1392년 조선건국부터 630년 역사의 물길이 흐릅니다.
역사물길은 정부서울청사 앞 육조마당에서 시작하여 광화문광장 전체를 흘러 한글분수까지 이어집니다.
물길을 따라 돌판에 새겨진 우리나라 주요 역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사헌부 문 터 전시장은 이 일대의 발굴에서 나온 매장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공유하기 위해 조성하였습니다. 전시장이 조성된 장소는 사헌부가 있던 곳으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배수로와 우물, 사헌부 청사의 담장과 출입문 터, 행랑 유구(遺構)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한국의 자생수종을 중심으로 한국의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입니다. 고궁에서 사용되었던 화계(층계모양으로 단을 만들어 화초를 심음)에서 영감을 얻은 장대석 화단이 풍성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민족의 영웅으로서 경복궁에서 즉위하여 승하하신 최초의 임금이었던 세종대왕의 동상. 높이 6.2m, 폭 4.3m 규모로 4.2m 기단(基壇)위에 좌상형태로 남쪽을 향해있는 세종대왕 동상은 부드러운 표정으로, 왼손에는 ‘훈민정음 해례본’(페이지는 용자례 - 훈민정음 글자의 사용 예를 정리한 것)을 , 오른손은 가볍게 들어 신하들에게 온 백성이 훈민정음을 널리 쓰도록 하라는 대왕의 정신을 표현하였습니다.

세종문화회관 앞, 공원의 일상을 담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북악산에서 경복궁과 광장으로 자연이 연결되는 공간을 담고자 보통 산에서 만날 수 있는 참나무 숲을 조성하였습니다. 문화쉼터 나무 아래에는 누구나 편하게 앉아 쉴 수 있는 긴 테이블‘모두의 식탁’이 있습니다.



충무공의 해전을 상징하는 바닥분수입니다. 동상 내측 분수의 133개 노즐은 명량해전 당시 133척의 왜선 격퇴를, 외측 분수는 한산도 대첩 당시 학익진(鶴翼陳, 학이 날개를 편 듯이 진을 쳐 적을 측면에서부터 무너뜨리는 전술) 전법을 상징합니다. 또한 분수 앞 바닥 조명은 이순신장군 탄생년도 1545년을 보티브로 하여 길이를 15.45m로 만들었습니다.

복잡한 세종대로 사거리를 벗어나 숲과 같은 녹음이 풍부한 휴식공간으로 느티나무, 느릅나무, 팽나무 같은 키가 큰 나무들이 있어 광장을 찾는 시민들에게 시원한 개방감과 그늘을 선사합니다.
- 보도자료 시민과 함께 광화문광장의 매력을 알리다...서울시, 시민서포터즈 모집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행사 소식을 알리고, 광장 운영 등에 대한 모니터링, 광화문광장의 운영 개선 활동에 참여할 광화문광장 시
2023-03-30 - 공지사항 광화문광장 시민 서포터즈 모집 공고
광화문광장 시민 서포터즈 모집 공고역사와 문화가 흐르는 광화문광장의 다양한 매력을 홍보하고 광장 운영시설 개선 방향 등 시민 의견 수렴 활동을
2023-03-24 - 보도자료 서울시-문화재청, 광화문 앞 일제강점기 전차철로 확인, 발굴 현장 공개
서울시-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현장을 시민들에게 3월 16일(목)~18일(토), 3일간 공개합니다.발굴된 매장문화재에 관심을
2023-03-06 - 공지사항 광화문 라운지 운영 안내(광화문서가 운영 종료)
광화문광장 해치마당의 [광화문 라운지]에서 운영중인 광화문서가가 23년 2월 24일(금) 오후 6시에 종료됩니다.※ 광화문서가 : 시민들이 자유
2023-02-22 - 보도자료 광화문광장에서 「봄날의 설렘」 느껴보세요...3월 17일까지 봄맞이 특별전시
공간을 다채롭게, 일상을 재미있게 만드는 광화문광장에서 2023년 새봄을 맞이하여 시민들에게 색다른 재미와 경험을 선사할 특별한 전시가 열립니다
2023-02-15 - 보도자료 서울시, 광화문광장 대형 전광판에 실릴 전시콘텐츠 공모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에 설치된 53m 대형 전광판(영상창)에 송출할 전시콘텐츠 공모 작품을 오는 2월 8일(수)까지 접수합니다. 광화문광장 영상창
202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