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대를 연결하는 모두의 문화공간
다양한 볼거리가 있는 광화문광장
광화문광장의 곳곳을 걷자

광화문광장에는 1392년 조선건국부터 630년 역사의 물길이 흐릅니다.
역사물길은 정부서울청사 앞 육조마당에서 시작하여 광화문광장 전체를 흘러 한글분수까지 이어집니다.
물길을 따라 돌판에 새겨진 우리나라 주요 역사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사헌부 문 터 전시장은 이 일대의 발굴에서 나온 매장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시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공유하기 위해 조성하였습니다. 전시장이 조성된 장소는 사헌부가 있던 곳으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배수로와 우물, 사헌부 청사의 담장과 출입문 터, 행랑 유구(遺構)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한국의 자생수종을 중심으로 한국의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입니다. 고궁에서 사용되었던 화계(층계모양으로 단을 만들어 화초를 심음)에서 영감을 얻은 장대석 화단이 풍성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민족의 영웅으로서 경복궁에서 즉위하여 승하하신 최초의 임금이었던 세종대왕의 동상. 높이 6.2m, 폭 4.3m 규모로 4.2m 기단(基壇)위에 좌상형태로 남쪽을 향해있는 세종대왕 동상은 부드러운 표정으로, 왼손에는 ‘훈민정음 해례본’(페이지는 용자례 - 훈민정음 글자의 사용 예를 정리한 것)을 , 오른손은 가볍게 들어 신하들에게 온 백성이 훈민정음을 널리 쓰도록 하라는 대왕의 정신을 표현하였습니다.

세종문화회관 앞, 공원의 일상을 담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북악산에서 경복궁과 광장으로 자연이 연결되는 공간을 담고자 보통 산에서 만날 수 있는 참나무 숲을 조성하였습니다. 문화쉼터 나무 아래에는 누구나 편하게 앉아 쉴 수 있는 긴 테이블‘모두의 식탁’이 있습니다.



충무공의 해전을 상징하는 바닥분수입니다. 동상 내측 분수의 133개 노즐은 명량해전 당시 133척의 왜선 격퇴를, 외측 분수는 한산도 대첩 당시 학익진(鶴翼陳, 학이 날개를 편 듯이 진을 쳐 적을 측면에서부터 무너뜨리는 전술) 전법을 상징합니다. 또한 분수 앞 바닥 조명은 이순신장군 탄생년도 1545년을 보티브로 하여 길이를 15.45m로 만들었습니다.

복잡한 세종대로 사거리를 벗어나 숲과 같은 녹음이 풍부한 휴식공간으로 느티나무, 느릅나무, 팽나무 같은 키가 큰 나무들이 있어 광장을 찾는 시민들에게 시원한 개방감과 그늘을 선사합니다.
- 보도자료 서울시, 광화문광장 대형 전광판에 실릴 전시콘텐츠 공모
서울시는 광화문광장에 설치된 53m 대형 전광판(영상창)에 송출할 전시콘텐츠 공모 작품을 오는 2월 8일(수)까지 접수합니다. 광화문광장 영상창
2023-01-24 - 공지사항 광화문광장 영상창 전시콘텐츠 공모
광화문광장 영상창 전시콘텐츠 공모광화문광장 영상창(미디어월)은 시민이 향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미디어아트와 영상 콘텐츠 등 전자적 빛으로 이루어
2023-01-18 - 공지사항 광화문광장 사용허가 심사결과(12.28)
2022.12.28. (수) 광화문광장 사용허가 심사결과를 붙임과 같이 공개합니다.
2022-12-29 - 보도자료 광화문광장 영상창에 새로운 작품 선보여…<광화문을 보다展>
광화문광장 영상창은 해치마당(세종문화회관 앞) 진입부에 설치된 길이 53m의 미디어월(Media Wall)로시민이 향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미디
2022-12-15 - 공지사항 월드컵 16강 브라질전 광화문광장 주변 교통안내
이번 브라질전 거리응원전은 새벽 시간대 낮은 기온대에서 진행됩니다. 참여하시기 전에 방한복, 장갑, 담요, 방석 등 방한준비를 철저히 해 주시길
2022-12-05 - 공지사항 2022년 서울시 10대 뉴스 선정, 뽑아주세요! 나를 위하고 내가 사랑한 서울시 정책은?
올 한해 우리 곁에 함께 해 든든했던 정책, 그리고 서울을 가장 매력적으로 만든 서울시 정책은 어떤 것이 있었나요?서울시가 올해 선보인 정책 중
2022-11-25